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定義(정의) 효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6 19:10본문
Download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_5041343.hwp
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에서 말하는 정당한 이유에는 실체적 정당성뿐만 아니라 절차적 정당성도 포함되므로, 이러한 조항을 위반한 해고는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반하여 무효가 될 뿐 아니라(근로기준법 제100조,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3조 참조), 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위반으로 무효가 된다 김유성, 「노동법Ⅰ」, 301면
법원은 절차적 제한 규정에 위반한 채 이루어진 해고는 절차상의 하자가 치유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효라고 보고 있따 즉 해고와 관련하여 절차를 규정한 것은 해고권의 공정한 행사를 확보하고 징계제도의 합리적인 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이를 위반하여 행…(투비컨티뉴드 )
다.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에 관한 판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Download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_5041343.hwp( 90 )
해고의절차적제한규定義(정의)효력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定義(정의) 효력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설명






1. 들어가며
2. 관련 주요 판례 검토
1. 들어가며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서 해고를 할 때에는 해당 근로자에게 사전통지를 하여 변명의 기회를 제공한다든지, 노동조합 또는 본인과 협의나 동의를 하여야 한다는 등 해고의 절차에 대한 규정을 두는 예가 많다.해고의절차적제한규정의효력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법학행정레포트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에 관한 판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