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윤리] 내부고발의 필요성(必要性) 및 事例(사례)와 성공 조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5:24
본문
Download : 내부고발 분석.hwp
3. 내부고발의 Cause
[기업윤리] 내부고발의 필요성(必要性) 및 事例(사례)와 성공 조건
둘째, 내부고발은 도덕적이다. 내부고발자 보호제도는 공무원이 조직 내부에서 불법, 부정한 활동을 목격하고 이것의 부당성을 주장하거나 상부에 보고 또는 관련 기관에 신고하였다고 하여 어떠한 불리한 대우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Download : 내부고발 분석.hwp( 73 )
공익의 호루라기 내부고발 - 이지문, 행정DB, 2003
다. 동료나 다른 상급자 또는 계선을 우회하여 직접 고위 관리층이나 인사부처 등의 조직 내부의 제도적인 경로를 통한 비리 사실의 고지 또는 보고 행위도 내부고발로 본다. 내부고발은 개인의 양심적 판단, 전문 직업적 윤리, 사회 일반에 대한 책임 등에 토대를 둔 윤리적 행위의 성격을 지닌다.
내부고발의 동기와 징계 - 전윤구, 중앙노동위원회, 2007
현대인사행정론 - 박천오, 법문사, 2007
내부고발의 논리 - 박흥식, 나남출판, 1998
내부고발과 윤리경영 - 민진규, 예나루, 2009
7. 내부고발의 성공 조건
6. 내부고발의 사례
설명
내부고발제도의 성패는 내부고발자에 대한 보호제도의 확립 여부에 달려 있다. 그러나 내부고발의 槪念은 크게 3가지 측면에서 요약될 수 있다. 고발이란 조직 내부 비리의 대외적인 폭로이다. 따라서 보복을 받았을 경우에 대한 구제절차가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비리에 관한 검찰 경찰의 수사 감사원의 감사 국회의 조사활동 재판에서의 증언 매스미디어의 취재 등의 활동에 협조 또는 참여하거나 이와 관련하여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말하였다고 하여 어떠한 보복도 당하여서는 안 된다
4. 내부고발의 피료썽
셋째, 내부고발은 외부적 행위이다.
내부고발(whistle-blowing)은 조직 내부에서 일어나는 비리 부패 등을 외부에 공개해 시정을 요구하는 행위로서 적극적인 공무원윤리의 확보 strategy에 해당한다. 내부자에 의한 조직비리의 공개행위라고 하더라도 악의적 저의 또는 악의적 보복에 의한 경우는 내부고발에 포함되지 않는다. 자기가 소속한 조직이 불법, 사기나 사회에 유해한 비도덕적인 활동에 관여함으로써 공익을 저해한다고 믿는 내부 직원이 공개적으로 이 사실을 외부에 밝히는 이타적 행위라는 것이다.
윤리경영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수용도가 내부고발 의지에 미치는 影響(영향)에 관한 연구 - 서정욱, 동국대 경영대학원, 2006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내부고발사례, 내부고발방안, 기업내부통제, 기업윤리의중요성, 기업윤리매뉴얼, 기업윤리사례, 기업윤리제고방안
내부고발의 필요성(必要性) 및 事例(사례)와 성공 조건에 대한 A+ 보고서
8. conclusion 및 시사점
[참고data(資料)]
2. 내부고발의 特性(특성)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 이건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순서
세상을 밝히는 힘, 공익제보 - 박흥식, 사계절출판사, 2002





5. 내부고발의 efficacy
1. 내부고발의 槪念
내부고발의 필요성 및 사례와 성공 조건에 대한 A+ 레포트 [참고자료] 내부고발과 윤리경영 - 민진규, 예나루, 2009 현대인사행정론 - 박천오, 법문사, 2007 내부고발의 동기와 징계 - 전윤구, 중앙노동위원회, 2007 윤리경영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수용도가 내부고발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정욱, 동국대 경영대학원, 2006 공익의 호루라기 내부고발 - 이지문, 행정DB, 2003 세상을 밝히는 힘, 공익제보 - 박흥식, 사계절출판사, 2002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 이건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내부고발의 논리 - 박흥식, 나남출판, 1998
첫째, 내부고발은 공익적 행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