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건강요인 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6:55
본문
Download :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hwp
건강요인 모델
Download :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hwp( 90 )
순서
레포트 > 의학계열
지난 수세기 동안 질병의 유무는 주로 건강을 측정(measurement)하는 척도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일반 대상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개념이 질병의 유무에서 건강증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따 看護學(간호학)에서도 여러 학자들에 의해 건강지향적인 개념틀을 찾는 노력이 계속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Delaney, 1994; Fox, 1986; Hoeffer, 1982; Onega, 1991; Pender, 1987; Reed, 1987; Sullivan, 1989; 1993) 건강증진을 주요 목적으로 제시하거나(김명자, 1990; 서연옥, 1994; 이경식, 1994; Edelman & Mandle, 1990; Murray & Zentner, 1989; Pender, 1987), 건강과 질병의 사회적 맥락을 강조하기도 하고(Betterfield, 1990; Riehl, 1980), 環境, 스트레스, 질병간의 관계에 주목하기도 하며(Roy, 1980; Neuman, 1980), 노인건강에 있어서 생활기능상태의 총체적 조건에 주목하는 (송미순, 1991; Yi, 1995) 개념틀들이 제시되어 기존의 질병중심적인 시각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따 그러나 간호교육이나 임상에서는 아직도 질병중심적인 시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조원정 외, 1994), 질병중심적 이론을 전면적으로 대체하는 종합적인 개념틀도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그는 기존의 의학과看護學(간호학)의 주도적인 접근방식을 질병요인지향적(pathogenic) 모델이라 부르고 있으며 그 자신의 이론은 건강요인지향적(salutogenic) 모델이라 지칭하면서 질병요인지향적 모델이 인간의 건강현상을 잘못된 시각에서 파악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따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
설명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서 론
다.
[看護學(간호학)] 건강요인 모델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342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5/%5B%EA%B0%84%ED%98%B8%ED%95%99%5D%20%EA%B1%B4%EA%B0%95%EC%9A%94%EC%9D%B8%20%EB%AA%A8%EB%8D%B8-3421_01.gif)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342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5/%5B%EA%B0%84%ED%98%B8%ED%95%99%5D%20%EA%B1%B4%EA%B0%95%EC%9A%94%EC%9D%B8%20%EB%AA%A8%EB%8D%B8-3421_02_.gif)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342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5/%5B%EA%B0%84%ED%98%B8%ED%95%99%5D%20%EA%B1%B4%EA%B0%95%EC%9A%94%EC%9D%B8%20%EB%AA%A8%EB%8D%B8-3421_03_.gif)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342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5/%5B%EA%B0%84%ED%98%B8%ED%95%99%5D%20%EA%B1%B4%EA%B0%95%EC%9A%94%EC%9D%B8%20%EB%AA%A8%EB%8D%B8-3421_04_.gif)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3421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5/%5B%EA%B0%84%ED%98%B8%ED%95%99%5D%20%EA%B1%B4%EA%B0%95%EC%9A%94%EC%9D%B8%20%EB%AA%A8%EB%8D%B8-3421_05_.gif)
[간호학] 건강요인 모델 - 대학 레포트(report) 제출reference(자료)
질병중심적인 개념틀을 전면적으로 대체하는 개념틀을 만들고자하는 시도가 이스라엘의 의료사회학자인 Antonovsky(1983; 1984; 1985; 1988)에 의해 시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