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조사방법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5:58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조사론.hwp
제3절 data(자료)수집방식
④ 문항별로 평가 점수의 중앙값, 범위, mean(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한다.
⑤ 응답자 별로 평점을 낸다.
⑥ 문항分析(분석)(item analysis)을 한다.
3. 의미분화척도/어의차이척도
1. 설문지(서베이형식)
④ 이렇게 해서 구성된 질문지를 응답자에게 주고 응답자의 태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응답 범주들에 체크하도록 한다. ③ 각 문항의 평가는 부적합-중립-적합의 정도를 세분할 수 있도록 11개 평가 범주로
리거트척도의 장단점
다들 좋은 점수 받으세요^^
사회복지 조사방법의 이해입니다.
1. 우편조사
설명
② 각 문항에 응답 카테고리(범주)를 설정. 3점, 4점, 5점 척도 등.
순서
...(중략)
1. 리거트척도
사회복지 조사방법의 이해입니다.
장점 : 리커트 척도화는 실용적이어서 널리 사용된다
4. 집합조사법
- 다수의 문항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회현상을 측정하기 때문에 좀더 정확하게 현상을 측정 할 수 있다
서스톤 척도는 절대적 기준에 의해 평가하는 평정척도와 달리 여러 개의 문항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평가하는 평위척도(ranking scale)이며, 척도의 간격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유사동간법이라고 부른다. 즉 응답자들이 각 문항에 대해 응답한 점수들의 합계를 낸다.
2. 전화조사
Download : 사회복지조사론.hwp( 55 )
2. 서스톤척도
리거트척도의 구성방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거트만척도
제2절 척도개발방법의 종류
1. 리거트척도





2. 서스톤척도
- 어떤 변수나 현상(대상)을 측정할 때 한 문항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적절하게 선택되고 分析(분석)된 일련의 다수 문항들로 구성될 때 측정할 변수나 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척도 구성의 원리이다.
- 리커트 척도에 확보된 총점을 등간변수처럼 취급하지만 사실 엄격한 등간격성이 유지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여기서 평가자 들의 意見(의견)이 일치하지 않아서 평가 점수의 편차가 큰 문항들은 제외하고, mean(평균)이나 중 앙값을 문항의 가중치로 부여한다.
① 어떤 쟁점이나 현상에 대해 긍정-부정, 우호적-비우호적, 찬성-반대 등 방향이 뚜렷한 문항들을 다수 수집 또는 만든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세요^^
- 하나의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들이 만일 그것들이 타당한 문항들이라면 반드시 그 척도를 구성하는 다른 문항들과 고도의 관련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리커트 척도의 기본원리이다.
Likert에 의해 개발된 총화척도이다.
-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다
3. 면접조사
4. 종합
[사회복지] 사회복지 조사방법의 이해
② 관련 data(자료)를 수집하여 측정변수와 연관된 문항을 가능한 많이 만든다, 문항은 간결한 문장으로 표현하되 양면성을 가진 표현은 피하여야 하고 평가자가 평점을 표시할 수
단점
목차
있도록 하여 대략 100 여개의 문항을 작성한다
제5장 측정 및 data(자료)수집방법
3. 기존data(자료)分析(분석)(조직의 기록과 이차分析(분석))
사회복지 조사방법의 , 사회복지 조사방법 , 사회복지
척도를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유형은 리거트척도, 서스톤척도, 의미분화척도, 거트만척도 등이 있다
다.
제2절 척도개발방법의 종류
사회복지 조사방법의 이해
2. observe
③ 각 응답 카테고리에 점수를 부여
5. 전자조사(인터넷조사)
. 서스톤 척도의 구성 과정
나누어 가능한 많은 평가자에게 평가하도록 한다
본문내용
① 연구 주제를 위해 축정하려는 변수를 명확히 규정한다.
- 판단자나 평가자 없이 피조사자의 응답만으로 문항分析(분석)이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