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더에 대한 나의 고찰[맥아더의 지난 행동들과 사건들을 살펴보며 맥아더의 비영웅적 면모들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6:41본문
Download : 맥아더에 대한 나의 고찰[맥아더의 지.hwp
대한민국에서 맥아더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천상륙작전을 상기하며 그를 영웅으로 기억했었다. 6·25전쟁 때 UN군 최고사령관으로 부임,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하여 우리나라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 장군이다.
순서





인천상륙작전은 기습이 아니었다.
맥아더에 대한 나의 고찰[맥아더의 지난 행동들과 사건들을 살펴보며 맥아더의 비영웅적 면모들에 대하여]
① 인천상륙작전은 맥아더가 처음 세운 작전이 아니었다. 이것이 전쟁 전에 이미 수립되어 있었다는 것은 미국의 전쟁도발이나 유도를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미군이 한국에서의 전쟁발발 가능성을 매우 높게 보고 있었다는 한 유력한 증거가 되기에는 충분하다.
설명
Download : 맥아더에 대한 나의 고찰[맥아더의 지.hwp( 75 )
비밀문건들과 증언을 종합하면 전쟁 직전에 미군과 국군은 전쟁발발 후의 작전계획을 작성하였고 실제 전쟁 역시 이와 매우 유사하게 치러졌음을 알 수 있다아 전쟁 직전에 남한 최고지도부는 물론 일선부대까지 일률적 방어 작전을 구상하고 대비하였다. 문제는 그것을 실제로 실행하는 단계까지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었느냐 하는 점이지 계획자체가 부재하였던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로 인해 전세는 남한 쪽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6·25전쟁 때 UN군 최고사령관으로 부임,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하여 우리나라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 장군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전부터, 맥아더의 영웅적 면모와는 거리가 먼 몇 가지 사건들이 알려지고 재해석 되면서 맥아더 동상을 철거론 마저 붉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전부터, 맥아더의 영웅적 면모와는 거리가 먼 몇 가지 사건들이 알려지고 재해석 되면서 맥아더 동상을 철거론 마저 붉어지고 있다. 원래 공군력이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는 곳에 배후의 보급로를 차단당함으로써 전방에 있는 병력에겐 큰 타격이 아닐 수 없었다.
더글러스 맥아더. 1880년 1월 26일생, 그는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세계대전을 맞이하여 1945년 8월 일본을 항복시키고 일본점령군 최고사령관이 되었다. 그러나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우리들의 보편적인 생각은 잘못된 부분이 많다. 그리고 그것은 우연하게도 미군의 후퇴 후의 역습 작전구상과 일치하였다. 대한민국에서 맥아더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천상륙작전을 상기하며 그를 영웅으로 기억했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맥아더가 상륙작전을 최초로 떠올렸다는 시점인 6월 29일의 한강방어선 시찰 때의 구상은 바로 전쟁 전의 계획에 토대를 둔 것이 분명해 보인다. 전술했듯 그는 한강 남안에서 강북을 바라보며 북한군의 진격을 수원선에서 차단한 뒤 인천 쪽으로 부대를 상륙시켜 적의 배후를 공격하는 작전을 생각했었다.
인천상륙작전은 분명히 전쟁의 흐름을 바꿔 놓은 훌륭한 작전임에는 틀림없었다. 먼저, 미국의 인천 상륙작전준비에 대해 살펴보면 그동안의 한국전쟁연구들은 전쟁 발발 이후에서야 미군, 특히 맥아더가 인천상륙작전을 구상하였다고 서술했다. 그러나 최근에 공개된 한 비밀문건에 의하면 미군은 한국에서 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에 이미, 만약에 전쟁이 발발할 시에는 한반도의 상당한 지점까지 후퇴하였다가 인천에서 다시 상륙하려고 계획하고 있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맥아더,맥아더의 지난 행동,맥아더의 비영웅적 면모
다. 즉 사태에 대한 대응전략을 미리 수립해 놓았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아
더글러스 맥아더. 1880년 1월 26일생, 그는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세계대전을 맞이하여 1945년 8월 일본을 항복시키고 일본점령군 최고사령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