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mpool.co.kr 창경궁 > itempool1 | itempool.co.kr shopping

창경궁 > itempool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itempool1

창경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09:34

본문




Download : 창경궁_113340.hwp






가구는 전면 툇간에 고주(高柱)를 세우고 고주의 웃몸 중간에 퇴보와 대들보를 걸고, 고주 위에 중보의 한쪽을 또 대들보의 다른쪽에 동자기둥을 세워 중보를 걸고 다시 중보 위에 종보를 걸어 키대공으로 종도리를 받치고 있따 바닥은 전을 깔았으며 천장은 우물천장인데, 특히 보개천장…(To be continued )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Download : 창경궁_113340.hwp( 58 )




다. 화강석의 장대석을 바른층쌓기한 2단의 높은 월대 위에 장대석 한벌대의 기단을 쌓고, 다듬은 초석들을 놓은 다음 두리기둥을 세웠다.레포트/공학기술
창경궁의 정전. 국보 제226호. 앞면 5칸, 옆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

순서

창경궁의 명정전(조선 중기), 국보 제226호, 서울 종로구 와릉동 창경궁의 정전. 국보 제226호. 앞면 5칸, 옆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 , 창경궁공학기술레포트 ,





창경궁의 명정전(조선 중기), 국보 제226호, 서울 종로구 와릉동

창경궁




창경궁_113340_hwp_01.gif 창경궁_113340_hwp_02.gif
창경궁의 명정전(조선 중기), 국보 제226호, 서울 종로구 와릉동
창경궁의 정전. 국보 제226호. 앞면 5칸, 옆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건물이다. 월대 가장자리에는 돌난간을 돌리지 않아 돌난간을 두른 경복궁과 비교할 때 격이 낮아 보이는데, 이것은 창경궁이 정궁이 아니라 이궁(離宮)으로 지어졌기 때문일것이다 기둥과 기둥 사이의 창방(昌枋) 위에는 평방(平枋)을 놓고, 기둥 위에는 물론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짜놓아 다포양식을 이루고 있따 출목은 내외3출목(內外三出目)으로 살미첨차의 끝은 날카로운 수서로 되어 있고, 안쪽은 교두형으로 되어 있어 조선 중기의 공포양식을 잘 보여준다. 1484년에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16년에 다시 지은 조선 중기의 건축물이다.
전체 16,12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itempoo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