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04:00본문
Download : 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hwp
따라서 초기에는 이 공개영역의 범위를 넓혀 가는 것으로 기초를 닦는다.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 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인문사회레포트 , 자기노출 진단하 조하리 창 대하여 아래 물음 답하시오
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설명
순서
자기노출,진단하,조하리,창,대하여,아래,물음,답하시오,인문사회,레포트
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조 하리의 창 (johari’s windows) 理論의 의의 및 역사(歷史)
1950년대 미국의 심리학자인 조셉 루프트(joseph luft)와 해리 앵 햄(harry ingham)이 고안한 理論으로 원래는 집단역학에 관한 조사를 하던 과정에서 개발한 모델이다
둘의 이름의 앞글자를 따 조해리의 창 (johari’s windows)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JW 모델은 개인의 자기개발과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 집단 역학, 팀 개발과 팀간의 관계 구조 improvement(개선)을 위해 자아를 인식, 이해하고 훈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조해리의 창은 4가지로 분류되어, 개개인 혹은 집단의 이해 및 improvement(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때 본인이 상대에게 보여주는 정보 범위, 즉 얼마나 정직한 정보를 공개하느냐에 따라 상대가 공개하는 정보 범위도 커진다.
이러한 JW 모델은 각각의 창에 따라 상대와 본인과의 관계…(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자기노출을 진단하는 조하리 창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hwp( 26 )



다. 이 4가지는 공개영역, 맹인영역, 비밀영역, 미지영역으로 나뉜다
1. 공개영역 (open area) : 본인 스스로와 상대 모두 공통적으로 알고 있는 외적으로 드러나는 정보영역. ex) 이름, 나이, 성별 등등
2. 맹인영역 (blind area) : 본인 스스로는 모르나 상대가 알고있는 정보 영역. ex)타인의 눈에 보이는 자신의 매너, 성격,무의식적 행위 등등.
3. 비밀영역 (hidden area) : 본인 스스로는 알고 있으나 상대는 모르는 정보영역. ex) 욕망, 감정, 비밀 기호, (호불호),희망, 꿈 등등
4. 미지영역 (Unknown Area) : 자신도 모르고 있으나 상대의 눈에도 보이지 않는 미지의 정보영역, 이 영역은 JW의 나머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지적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아
초기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상대도 자신도 서로에 대해 ‘정보 개념(槪念)이’ 이 전혀 없는 상태이거나 상당히 적은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