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정서법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22:21
본문
Download : 국어 정서법 이야기.hwp
(예) 십시일반(十匙一飯) : 열 술의 밥이 한 그릇의 밥이 된다
• 우리말에서는 ㄷ과 ㄹ이 자주 넘나드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술’의 ㄹ받침이 ㄷ으로 변한 것이다.
본 자료는 국어의 정서법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한자어인 ‘저’와 우리말인 ‘가락’이 합하여질 때, 사이시옷 규…(투비컨티뉴드 )
본 자료(資料)는 국어의 정서법에 대해 정리(arrangement)한 리포트입니다.국어정서법 , 국어 정서법 이야기인문사회레포트 ,
국어정서법
Download : 국어 정서법 이야기.hwp( 57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예) ㄷ이 ㄹ으로 변하는 경우 : 걷다→걸으니, 걸어서, 걸어라, …
묻다→물으니, 물어서, 물어 보아라, …
ㄹ이 ㄷ으로 변하는 경우 : 설+달→섣달, 사흘+날→사흗날, 나흘+날→나흗날, 삼질+날→삼짇날, 바느질+고리→반짇고리, …
⇒ 한글맞춤법 제29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소리가 ‘ㄷ’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
(2) 젓가락
• 젓가락의 ‘젓’은 ‘젓가락 저(箸)’에서 비롯된 것이다.
국어 정서법 이야기






1. 숟가락과 젓가락
1. 숟가락과 젓가락
Q. ‘숟가락’과 ‘젓가락’은 모두 음식을 먹는 데 사용하는 도구인데, 왜 받침이 다를까?
(1) 숟가락
• 숟가락의 ‘숟’은 ‘술 시(匙)’에서 비롯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