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바깔로레아 - 프랑스의 대학입시 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3:33
본문
Download : 바깔로레아 - 프랑스 대학입시제도.hwp
학교에 빠지지 않고 출석만하면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험에서 일정한 점수 이상을 받아야 받을 수 있으며 대학 교육에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해 준다. 논술 및 철학 시험을 필수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학입학자격을 부여하는 시험이므로 대한민국의 수학능력시험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바깔로레아는 프랑스 대입 자격시험이다. 그러나 현재 바깔로레아는 중등교육 이수를 인정하는 증서이면서 그 증서를 수여하기 위한 시험의 이름을 의미한다. 흔히 바깔로레아(Baccalauréat)를 줄여서 BAC이라고 부른다. 바깔로레아의 철학-논술 시험문제는 학생뿐만 아니라 전 국민의 관심사가
- 심상필, 서울대학교 불어culture권연구소 불어culture권연구, 『프랑스의 대학입시제도에 관한 연구』, 1994년, pp. 208-209.
바깔로레아,프랑스,대학입시,수능
바깔로레아 - 프랑스의 대학입시 제도
설명
프랑스 혁명이전에는 바깔로레아가 대학에서 수여하는 학위 가운데 하나였다. 바깔로레아가 대입시험이 된 것은 1808년 나폴레옹 1세대 황제 법령으로 인한 것이며 그로부터 약 20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바깔로레아는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졸업장과는 성격이 매우 다르다. 그러나 현재 바깔로레아는 중등교육 이수를 인정하는 증서이면서 그 증서를 수여하기 위한 시험의 이름을 의미한다. 첫 번째 등급의 학위가 바깔로레아였고 다음으로 학사, 박사가 있었다. 흔히 바깔로레아(Baccalauréat)를 줄여서 BAC이라고 부른다. 바깔로레아가 대입시험이 된 것은 1808년 나폴레옹 1세대 황제 법령으로 인한 것이며 그로부터 약 20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대학입학자격을 부여하는 시험이므로 대한민국의 수학능력시험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학교에 빠지지 않고 출석만하면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험에서 일정한 점수 이상을 받아야 받을 수 있으며 대학 교육에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해 준다. - 진형준, 중등우리교육 1994년 7월호(통권 제53호), 『200년 전통의 프랑스 바칼로레아-교양인의 폭 넓은 지적능력요구』 1994.7, page(s): 16-207
참고한 문헌
- 김승연, 프랑스culture예술연구 7권 2호 (제14집), 『프랑스와 한국의 고등교육 학제에 대한 비교 연구』, 2005.6, page(s): 1-481
- 배수옥, [KEDI] 교육개발 - [ED2007-159] 교육개발, 『프랑스-프랑스의 논술교육과 바깔로레아』, 2007년 03월 통권159호
- 황순희, 코기토 제65호, 『프랑스 <의사소통 교육> 동향에 관한 고찰 - 교육 제도와 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2009.2, page(s): 7-322
바깔로레아는 프랑스 대입 자격시험이다. 첫 번째 등급의 학위가 바깔로레아였고 다음으로 학사, 박사가 있었다. 논술 및 철학 시험을 필수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바깔로레아의 철학-논술 시험문제는 학생뿐만 아니라 전 국민의 관심사가
Download : 바깔로레아 - 프랑스 대학입시제도.hwp( 71 )





다. 프랑스 혁명이전에는 바깔로레아가 대학에서 수여하는 학위 가운데 하나였다. 일정점수 이상을 받아서 바깔로레아에 합격한 학생은 대학입학자격이 주어지며 이 시험은 절대평가제이다. 일정점수 이상을 받아서 바깔로레아에 합격한 학생은 대학입학자격이 주어지며 이 시험은 절대평가제이다. 바깔로레아는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졸업장과는 성격이 매우 다르다.